오늘날 아파트에는 많은 세대가 거주하지만 정작 내 옆집에 누가 사는지조차 모른다. 입구 계단이나 벽과 벽, 아래위로는 바닥과 천장을 공유하는 생활과 달리 주민간에는 두터운 불통이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소통의 부재와 이웃간의 불화, 자연을 느낄 수 없는 환경 등으로 많은 이들이 아파트를 떠나 단독주택으로의 삶을 꿈꾼다. 청수리 아파트는 아파트를 벗어나 여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대신 아파트라는 집합주거에 대해 다시 한 번 짚어보며 새로운 형태의 아파트를 모색해 본 실마리다. 청수리 아파트는 제주 한경면 청수리에 위치한 펜션이다. 건축주는 돌집으로 부모님과 형, 자신의 집 그리고 펜션을 짓기를 원했다. 공사에 들어가기 전 둘러본 주위에는 몇 채의 건물이 자리해 있어 바깥을 볼 수 있는 시야가 그리 넓지 않았다. 주어진 대지 면적 안에서 수평적 배치는 어렵다고 판단한 이룩 건축은 아파트의 형식을 빌어 수직으로 각각의 영역을 만들었다. 쌓아올린 건물 형태 청수리 마을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자연과 동떨어진, 고립된 기존 이미지의 아파트에서 벗어나 제주의 풍경과 개개인의 삶이 연결되는 투명한 아파트를 짓기 위해 디자이너는 유리를 적극 활용했다. 유리는 구성 입자 사이가 매우 균일해 빛 파동 시에 아무런 간섭 없이 통과 할 수 있다. 이룩은 이러한 유리의 속성에서 아파트 구조를 떠올렸다. 유리의 ‘투명함’을 컨셉으로 자연과 사람 간의 소통이 원활한 아파트를 기획했다. 

 
청수리 아파트의 외관은 대부분 투명한 유리 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 풍경이 공간에 드나들며 실내외는 모두 막힘 없이 이어진다. 클라이언트가 원했던 제주의 돌집은 외부가 아닌 실내로 들여와 새롭게 재해석했다. ㄷ자 형태의 돌집은 투명한 건물 안에서 프라이빗한 공간을 마련해준다. 필요에 따라 커튼을 이용해 불편한 시선을 차단할 수 있다.


 
돌집 형태의 솔리드 공간을 만들 때 사용된 석재는 청수리 공사 초기 ‘터파기’ 작업 시에 나왔던 울퉁불퉁한 돌을 그대로 사용했다. 대지 안에서 나온 석재는 다시 건축물에 쌓이며 자연의 모습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투명한 외관 너머로는 제주의 자연을, 내부에서는 제주의 돌담길을 느낄 수 있다. 공용라운지는 폴딩도어를 설치해 때로는 실내가, 때로는 야외가 되며 내외부가 자유롭게 통(通)한다.
 
기사 고민주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